손목 통증, 무시하면 안 되는 이유: 현대인이 조심해야 할 손목 질환 총정리
컴퓨터 자판을 두드리고 스마트폰을 스크롤하는 일상, 무의식적으로 반복되는 동작 속에서 손목은 혹사당하고 있어요. 손목은 작지만 정교한 구조로 구성된 관절이에요. 무게를 버티는 데 최적화된 무릎이나 발목과 달리, 손목은 정밀한 동작을 반복하는 데 특화된 관절이라 더 쉽게 손상될 수 있어요.
특히 현대인처럼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이 길고, 가사·육아·반복 작업을 자주 하는 사람들에겐 손목 질환이 더 자주 발생할 수밖에 없어요. 단순한 피로라고 넘기기 쉬운 손목 통증, 제대로 알고 대응해야 질환으로 번지는 걸 막을 수 있어요.
손목, 왜 자주 아플까요?
손목은 8개의 작은 뼈(수근골)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고, 그 위로 수많은 힘줄과 신경이 지나가요. 여기에 반복된 압력, 비틀림, 과사용이 더해지면 쉽게 염증이 생기거나 조직이 손상될 수 있어요.
이런 손상은 주로 다음 3가지 경로로 나타나요.
- 반복적 사용(Overuse)
➀ 장시간 타이핑, 스마트폰 사용
➁ 육아, 요리, 설거지 등 가사노동
➂ 무거운 물건 들기, 헬스 운동 - 비정상적인 자세
➀ 손목 꺾인 채 오랜 스마트폰 사용
➁ 잘못된 손목 각도의 마우스·키보드 사용 - 호르몬 변화 및 퇴행성 변화
➀ 출산 전후 호르몬 변화
➁ 폐경 이후 관절·건 조직 약화
➂ 노화에 따른 힘줄 퇴행
현대인이 자주 겪는 손목 질환 4가지
현대인의 생활방식에서 흔히 나타나는 손목 질환은 다음과 같아요.
1) 손목터널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정의
손목 앞쪽에 있는 '수근관'이라는 통로를 지나는 정중신경이 압박되어 손과 손가락에 통증, 저림, 감각 저하가 나타나는 질환이에요.
주요 증상
- 밤에 심해지는 손저림
- 엄지, 검지, 중지 쪽의 감각 둔화
- 젓가락질, 단추 잠그기 등 미세동작 어려움
치료
- 초기: 손목 보조기, 소염제, 스테로이드 주사
- 진행 시: 수근관 감압술 등 수술 고려
발생률 데이터
- 여성에게 3~5배 많이 발생 (미국 NIH)
- 특히 40대 이후 중년 여성, 사무직 종사자에게 흔함
2) 삼각섬유연골복합체(TFCC) 손상
정의
손목의 새끼손가락 쪽, 척골과 손목뼈 사이의 연골 구조(TFCC)가 손상된 상태예요. 골프, 테니스, 무거운 짐을 자주 드는 사람에게 흔해요.
주요 증상
- 손목 회전 시 찌릿한 통증
- 손목 안쪽 눌렀을 때 압통
- 손바닥 짚을 때 통증
치료
- 보존적 치료: 고정, 약물, 물리치료
- 손상이 크면 관절내시경 수술 필요
발생 통계
- 젊은 남성 운동선수, 무거운 작업 노동자에게 많음
- 퇴행성 손상은 50대 이상 여성에게도 흔함
3) 드퀘르뱅 건초염(De Quervain's Tenosynovitis)
정의
엄지손가락을 움직이는 힘줄을 감싸는 건초에 염증이 생긴 상태예요. 신생아를 안는 자세나, 스마트폰 엄지 사용으로 자주 발생해요.
주요 증상
- 엄지 손가락 움직일 때 날카로운 통증
- 손목 바깥쪽 부위 누르면 아픔
- 통증으로 물건 들기 어려움
치료
- 소염제, 물리치료, 주사
- 반복 재발 시 건초 절개 수술
발생 경향
- 출산 직후 여성(산후 3~6개월)
- 손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군 (교사, 요리사, 간호사 등)
4) 손목 관절염(Osteoarthritis of the Wrist)
정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손목 관절 연골이 닳고 염증이 생기면서 통증과 기능 저하를 일으켜요.
주요 증상
- 손목 움직일 때 뻣뻣하고 아픔
- 아침에 심한 관절 뻣뻣함
- 관절 주변 부종
치료
- 체중 감량, 보조기 착용
- 약물, 주사 요법
- 심한 경우 관절 고정 수술
고위험군
- 60대 이상 고령층
-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 과거 손목 골절력 있는 사람
손목 질환, 이렇게 진단해요
손목 통증이 있을 때는 방치하지 말고 병원에서 진단을 받아야 해요. 주요 진단 방법은 다음과 같아요.
- 이학적 검사
➀ 손목 굽히기·젖히기 테스트
➁ 엄지 움직임 검사
➂ 신경 압박 여부 체크 - 영상의학 검사
➀ X-ray: 뼈의 이상, 골절 확인
➁ MRI: 연부조직(건, 인대, 연골) 손상 확인
➂ 초음파: 염증·부종·신경 압박 확인 - 신경전도검사(NCS)
➀ 손목터널증후군 의심 시 필수
➁ 신경 전달 속도 측정해 압박 정도 평가
성별·직업·나이 따라 다른 예방 전략
손목 질환은 '무조건 많이 쓴다고' 생기는 게 아니라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아래 예방법을 참고해 보세요.
1) 성별 기준
- 여성 (특히 40대 이상)
➀ 손목 보조기 활용
➁ 설거지·청소 중 손목 꺾임 최소화
➂ 출산 후 손목에 무리 안 가게 안기 자세 교정 - 남성 (근력 활동 많은 직업군)
➀ 손목 강화 스트레칭
➁ 무게 중심 손바닥 전체로 분산
➂ 과격한 무게 들 때 손목 보호대 착용
2) 직업 기준
- 사무직·IT 종사자
➀ 1시간마다 손목 스트레칭
➁ 키보드·마우스는 인체공학 제품 사용
➂ 손목 받침대 사용으로 중립자세 유지 - 육체노동자·배달직
➀ 무거운 물건은 양손 분산
➁ 손목 반복 사용 줄이기 위한 도구 활용
➂ 근무 후 손목 아이싱·마사지
3) 나이 기준
- 10~30대
➀ 스마트폰 사용 시 손목 꺾지 않기
➁ 헬스 중 손목 과도한 꺾임 주의 - 40~60대
➀ 반복 작업 중간에 휴식 필수
➁ 가벼운 아령으로 손목 근력 강화 - 60대 이상
➀ 손목 부담 덜 가는 일상 루틴 구성
➁ 손목 피로감 있을 때 즉시 아이스팩
결론: 손목 건강, 지금부터 지켜야 평생 갑니다
손목은 우리 몸에서 가장 자주, 섬세하게 사용되는 관절이에요. 단순한 통증으로 넘기기엔, 너무 중요한 구조죠.
조기 진단과 치료, 반복 사용을 줄이는 생활 습관, 그리고 틈틈이 하는 스트레칭이 손목 질환 예방의 핵심이에요.
특히 다음을 기억하세요!
- 손목통증 3일 이상 지속되면 병원 진료받기
- 손목 꺾이는 자세 피하기
- 하루 2회 5분 스트레칭 습관화
- 손목에 무리 안 주는 생활도구 활용
당신의 손목, 지금도 열심히 일하고 있어요. 한 번쯤은 손목을 위해 멈춰주세요.
참고자료
-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2023). Carpal Tunnel Syndrome Facts & Figures.
-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손목 질환 직업별 발생 통계(2024)
- NIH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 TFCC Injury Review (2022).
- 대한정형외과학회. 손목 통증 질환별 가이드라인 (2023)
- 손목 질환 예방을 위한 국가건강정보포털 캠페인 (2024)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