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밥 먹고 바로 눕지 마세요”라는 말, 단순한 잔소리가 아니에요.
나이가 들수록 위와 식도 사이의 문지기 역할을 하는 ‘위식도 괄약근’이 약해지면서,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는 ‘역류성 식도염(GERD)’이 흔해지기 때문이에요.
가슴이 타는 듯한 통증, 속쓰림, 쓴물 올라오는 느낌... 혹시 한 번쯤 경험해보셨다면 주의하세요. 이는 단순한 소화불량이 아니라 **‘Heartburn(가슴쓰림)’**이라는 증상일 수 있고, 그 원인은 다양하답니다.

지금부터 역류성 식도염과 이와 비슷한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들을 함께 비교해볼게요.
더불어, 역류 예방을 위한 일상 속 루틴까지 꼭 챙겨드릴게요.


역류성 식도염(GERD)이란?

**역류성 식도염(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은
위에서 만들어진 산성의 내용물(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식도 점막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에요.

  1. 정의
    ➀ 위와 식도를 연결하는 ‘하부식도괄약근(LES)’이 제 기능을 못하면, 위산이 식도로 역류해 염증을 유발
    ➁ 만성적이고 반복되는 위산 역류로 인해 식도 손상이 생기면 GERD로 진단
  2. 주요 증상
    Heartburn(가슴쓰림): 가슴 중앙에서 작열감, 타는 느낌
    Regurgitation(역류): 위 내용물이 식도나 입까지 역류하면서 신물 또는 쓴물 느낌
    ➂ 만성기침, 인후 이물감, 쉰 목소리, 수면 장애 등도 동반 가능
    무증상 역류도 많아 노년층에서 ‘침묵성 식도염’ 형태로 발견되기도 해요
  3. 진단
    증상 중심 평가: 위산 억제제(PPI) 반응 여부
    상부 위장관 내시경: 점막 손상 여부 확인
    24시간 식도 산도 검사(pH 모니터링): 위산 역류 빈도와 시간 측정
    식도 내압 검사: 괄약근 기능 확인
  4. 치료
    약물요법:
     ➤ PPI(프로톤펌프 억제제): 위산 분비 억제
     ➤ H2 수용체 차단제(H2RA): PPI 대안
    생활습관 개선: 하단 내용 참고
    수술: 내과적 치료 불응 시 ‘기계적 괄약근 보강’ 수술 가능

Heartburn(가슴쓰림)을 유발하는 질환 비교

질환명                                주요 증상                     기전                                       진단법                           치료법

 

역류성 식도염(GERD) 가슴쓰림, 신물 역류 위산 역류로 식도 점막 손상 내시경, pH 검사 PPI, 식습관 개선
비궤양성 소화불량 속쓰림, 복부 팽만 위장 운동 이상 위내시경, 배제 진단 제산제, 식이조절
식도 경련증 타는 듯한 흉통 식도 근육의 이상 수축 식도 내압검사 칼슘차단제, 이완제
심장질환(협심증) 흉통, 식사와 무관 심장 근육 산소 공급 저하 심전도, 심초음파 심혈관 치료
위궤양 속쓰림, 상복부 통증 위 점막 손상 내시경, H. pylori 검사 PPI, 제균치료

가슴쓰림이 있다고 무조건 GERD는 아니에요!
심장질환이나 식도 운동질환과도 감별이 중요하므로 증상이 반복되면 꼭 검사를 받으세요.


나이 들수록 괄약근 기능 저하, 왜 생길까요?

  1. 괄약근 구조 노화
    ➀ 평활근 및 탄성 조직의 콜라겐 감소
    ➁ 약 60세부터 수축력 감소로 식도 조임 기능 저하
  2. 식도 점막 방어력 저하
    ➀ 위산에 노출 시 쉽게 손상
    ➁ 무증상 역류가 잦아도 염증이 진행될 수 있음
  3. 복압 증가 요인
    ➀ 비만, 기름진 음식, 과식, 허리 굽힌 자세 → 위로 압력 증가
    ➁ 위산이 쉽게 역류하게 됨

위식도 역류, 이렇게 예방하세요!

  1. 식사 후 자세 조심
    식후 2시간 이내 눕지 않기
    상체를 15도 이상 높이고 자기
    왼쪽으로 누워 자기: 위 구조상 식도로의 역류 억제
  2. 식습관 관리
    ➀ 과식 금지, 작은 용량으로 나눠 먹기
    기름진 음식·초콜릿·커피·탄산음료 피하기
    ➂ 술·담배는 괄약근 이완을 유발하므로 반드시 줄이기
  3. 체중 조절
    ➀ 복부비만은 위를 누르기 때문에 위산 역류 증가
    BMI 25 이상이면 식도염 위험 약 1.7배 증가
  4. 복장과 자세
    ➀ 꽉 끼는 옷 피하기
    ➁ 식후 몸을 앞으로 굽히는 동작 피하기 (예: 설거지, 허리 숙여 운동 등)
  5. 규칙적 생활
    ➀ 식사 시간 일정하게 유지
    ➁ 야식 줄이기
    ➂ 잠자기 3시간 전에는 식사 금지

핵심 요약

역류성 식도염은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염증을 유발하는 질환이에요
가슴쓰림(Heartburn)은 단순 소화불량이 아닐 수 있어요
60세 이상에서 식도 괄약근 기능이 약해져 발병률이 급증해요
내시경, pH 검사 등으로 정확한 감별이 중요해요
위산 억제 약물과 함께 생활습관 개선이 꼭 필요해요
식후 바로 눕지 않고, 자는 자세 바꾸는 것만으로도 큰 효과가 있어요


참고자료

  1. Katz PO et al. (2022). "ACG Clinical Guidelin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m J Gastroenterol.
  2. Jung HK et al. (2021). "Prevalence of GERD in Korea and its relationship with lifestyle." J Neurogastroenterol Motil.
  3. Fock KM et al. (2019). "Age-related changes in esophageal motility." Clin Gastroenterol Hepatol.
  4. Yamasaki T. et al. (2020). “Distinguishing GERD from Cardiac Chest Pain: Role of pH Monitoring and Endoscopy.” World J Gastroenterol.
  5. 대한소화기학회. (2023). “식도질환 진단과 치료 가이드라인.”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